요즘 무지출 챌린지라는 말이 갑자기 공중파를 비롯해 다양한 곳에서 회자 되면서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살다보니 제가 관심을 가지는 분야가 하나의 트렌드가 되는 것을 보게 되고, 그게 또 좀 신기하고 그렇네요.
오늘은 제가 지금껏 하고 있는 무지출 챌린지에 대해 좀 돌아보고 간략히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저는 매월 초 예산과 함께 그 달의 목표 무지출데이 수를 정합니다. 보통 인스타그램의 가계부 계정에 기록해두곤 하지만, 사실 그저 저와의 약속일 뿐입니다. 매번 그 목표가 달라진다면 관리하기 곤란할 것 같아, 보통 특별한 일이 없으면 예산은 순수 생활비로 40만 원, 그리고 무지출데이 횟수 목표는 16회를 설정합니다. 16회는 한 달의 절반 이상을 무지출데이로 채우고 싶어 산정한 수입니다.
저는 매일 가계부를 캡쳐하여 인스타그램 가계부 계정에 업로드 하고 있는데, 이렇게 하면 무지출데이도 자연스럽게 함께 카운팅이 되네요. 보통 무지출 한 날에는 다음과 같이 가계부 이미지에 무지출데이 횟수를 적어놓거든요.
무지출을 위해서 특별한 노력을 하진 않는데, 그래도 조금 신경쓰는 부분이 있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가능하면 한 달 동안 지출이 발생할 상황을 예상하고, 지출 할 날과 하지 않아도 되는 날을 구분해서 지출 할 날에 필요한 지출을 몰아서 하려고 노력합니다. 예를 들어, 장보는 것은 화요일에 몰아서 하고, 약속은 가급적 금요일이나 토요일에 잡는 등 지출을 최대한 정해진 날에 할 수 있도록 하는 거죠. 부득이한 지출이 발생하는 날이 있다면 그날 전후에 예정된 지출을 하루에 묶어서 하기도 합니다.
2. 1번의 연장선상에서 약속이 많거나 지출이 많이 분산되는 달에는 아예 미리 무지출이 가능한 날을 체크하고, 가급적 그 날에는 어떤 식으로도 지출이 일어나지 않도록 합니다. 아예 마트나 쇼핑몰을 안 가거나, 군것질 같이 불필요한 지출이 발생할 상황을 만들지 않는 거죠.
3. 마지막으로 하루 지출이 발생하면 가급적 그 다음날은 이어서 지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합니다. 특히 큰 지출 있은 다음날에는 소소한 지출이 가볍게 보일 수 있어서 더욱 조심하는 편입니다. 저의 무지출 챌린지 목표가 보통 월의 절반 이상을 무지출 하는 것이다보니 이 부분만 신경써도 그럭저럭 목표 달성이 가능합니다.
사실 무지출 챌린지의 목적은 단순히 무지출 날수를 늘리는 것에 있는 게 아니라, 이를 통해 무의식적으로 생기는 지출을 억제하고, 전체적인 소비 습관을 좋게 바꾸기 위함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예산을 정해놓고 지출 규모를 적절히 조절하지 못한다면, 무지출 목표를 달성하더라도 통장이 텅장이 되는 웃픈 현실을 마주할 수 밖에 없지 않을까 합니다. 그래서 저는 무지출 챌린지를 하면서도 월 생활비 예산도 함께 책정하고, 이를 지키려고 함께 노력하는 편입니다.
아래는 지금까지 제가 무지출 챌린지를 하며 남긴 스샷 기록들입니다. 인스타그램에 게시했던 것들 중 월말에 무지출 기록이 남아있는 것만 추려보았습니다.
3월에는 그냥 가계부 기록만 스크린샷으로 찍어 올렸네요. 5월과 7월에는 목표를 초과달성하긴 했는데, 두 달 모두 지출이 예산을 초과하기도 했다는 게 아이러니네요^^; (예정된 지출이 많아 대부분 예비비 범위 안에서 지출하긴 했지만요)
여러분들은 무지출 챌린지 과정에서 어떤 것을 신경쓰고, 어떻게 기록으로 남기고 계신가요?
- 관련 글 더보기
무지출 챌린지의 의미와 하는 법
최근 미디어에도 무지출 챌린지가 등장하면서 많은 분이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동시에 ‘도대체 무지출 챌린지가 뭐야?’, ‘그냥 돈 모아서 쓰는 거랑 뭐가 달라?’, ‘따로 하는
ikbro.tistory.com
무지출 챌린지에 달리는 의견들과 무지출 챌린지의 진짜 의미
(※ 이번 글은 사견을 정리한 것입니다. 참고 바랍니다.) 무지출 챌린지가 뭐라고 최근 몇 주 사이에 무지출 챌린지라는 용어가 언론에서 언급되면서, 관심도 증가한 반면, 그 전에는 보기 힘들
ikbro.tistory.com
'재테크 > 재테크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적 자유를 찾는 파이어족 (0) | 2022.08.24 |
---|---|
걷기를 돈으로 바꾸는 방법(feat. 만보기 어플 추천) (0) | 2022.08.17 |
무지출 챌린지의 의미와 하는 법 (0) | 2022.08.08 |
현금흐름의 중요성(feat. 짠테크) (0) | 2022.08.04 |
내가 자산현황을 파악하는 방법 (0) | 2022.08.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