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기 계발/지속적인 성장

새로운 일에서 성과를 내는 방법

by 한발자국앞으로 2022. 9. 14.

새로운 일 혹은 다시 시작하는 일

우리는 종종 새로운 일을 마주합니다. 학교나 회사에서 새로운 일을 맡게 될 수도 있고, 유튜브 운영, 온라인 스토어 운영, 블로그 운영 등 업무 외의 일을 만들어 자신을 표현하거나 부가적인 수입을 노리기도 합니다. 특히, 요즘에는 정말 다양한 활동이 있어서, 조금만 고개를 돌려도 처음 마주하는 일 투성이입니다.

새롭게 시작하는 일이 완전히 낯선 일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예전에 한 번 손을 댔다가, 충분히 익숙해지고, 성과를 낼 때까지 이어나가지 못하고 옆으로 밀어둔 일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 일은 다시 손에 잡으면 마치 새로운 일을 하는 것처럼 낯설기도 합니다. 이전에 성과를 내지 못했기 때문에 이번엔 잘해보자는 의욕이 더 클 순 있지만, 여전히 낯설고 어려운 일일 수 있습니다.

 

지속의 어려움

새롭거나 낯선 일을 하며, 원하는 성과를 얻으려면 꾸준히 지속해야 합니다. 학교나 회사에서 하게 되는 일은 강제성이 부여되기 때문에 비교적 지속하기가 쉽습니다. 하지만, 자발적으로 만든 일의 경우 꾸준히 지속하는 게 생각만큼 쉽지 않습니다. 많은 일들은 시작하자마자 당장 피드백이 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시작할 때의 열정만으로는 지속하기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무엇인가를 꾸준히 한다는 것은 원래 꽤 어려운 일입니다. 사람은 즉각적인 피드백에 반응하게 되어있고, 감정이 위아래로 요동치듯, 열정도 그러해서 어제 열정을 불태우던 일이 오늘은 크게 의미가 없어 보이기도 합니다. 특히, 옆에서 누군가가 묵묵히 그 일을 하는 모습을 보면, 나만 그 일이 어려운가 생각하다, 그 일이 나에게 맞지 않는다고 생각하곤 합니다. 작심삼일이란 단어를 변명 대신 꺼내 들거나, 원래 내가 꾸준함이 없는 사람이라고 자책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한 번 시도해본 일'이 하나둘 쌓이면, 스스로를 '여기저기 관심은 많지만, 뭐 하나 진득하게 해내지 못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지속성을 떨어뜨리는 장벽들

문제의 중심을 나에게서 바깥으로 돌려보면, 누구라도 넘기 힘든 지속성을 떨어뜨리는 장벽들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즉각적인 피드백의 부재

우리가 마주하는 첫 번째 장벽은, 대부분의 일이 즉각적인 피드백을 주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설령 초심자의 행운으로 처음 몇 번 반짝이는 결과를 얻는다고 하더라도, 이내 아무런 발전이 없는 상황이 지속됩니다.

열정과 에너지가 좋은 결과를 보장하지 않음

한편으론, 열정과 일에 엄청난 에너지를 쏟아부었다는 것이 좋은 결과를 장담하지 않기도 합니다. 우리는 종종 열정을 쏟아부어 완벽한 결과물을 만들면 처음부터 엄청난 피드백이 올 것이라고 믿기도 합니다. 그래서 처음부터 최선을 다하고, 최대한의 인풋을 집어넣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기대했던 것과 다릅니다.

주변의 도움과 오지랖

여기에 더해, 그 일에 있어서 나보다 경험이 많은 사람들이 이 정도는 알아야 한다며, 옆에서 다양한 개념을 쏟아붓기도 합니다. 그럼 우리는 필요하다고 하는 모든 것을 신경 쓰느라 일을 조금 더디게 하긴 하지만, 그래도 시행착오 없이 일을 잘 해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더디던 일이 점점 늘어지고, 좀처럼 결과물이 나오지 않아 이내 지치게 됩니다.

 

이런 다양한 장벽을 오로지 의지와 열정으로 돌파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순간, 우리는 또 한 번 실패를 맛보게 됩니다. 그러니 더 현명하게 새로운 일을 대할 필요가 있습니다.

 

새로운 일을 꾸준히 해서 성과를 내는 방법

문제를 외부에서 찾으면, 의외로 이를 해결할 쉬운 방법들이 떠오릅니다.

행위에 의미 부여하기

가장 먼저 할 수 있는 시도는 행위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어차피 즉각적인 피드백은 나오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지금 당장 하는 일 자체의 의미를 찾는 것이죠. 블로그 쓰기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블로그 쓰기는 긴 시간에 걸쳐 꽤 많은 글이 쌓이고, 검색엔진 알고리즘에 최적화가 되어야 조금씩 성과가 나오는 일입니다. 그러니, 처음부터 블로그를 통해 무엇인가를 얻고자 한다면 쉽게 지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블로그에 글 쓰는 행위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고, 이 행위가 자신에게 어떤 가치를 가진다면, 글을 쓰는 행위를 지속하는 게 한결 쉬워집니다.

힘 빼고, 최소한의 결과 추구하기

두 번째로 시도할 수 있는 것은 마음의 기준을 낮추는 것입니다. 열정도 좋고 의지도 좋지만, 열정과 의지는 감정이라 언제든 바닥까지 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니 거기에 의존하지 않고도 할 수 있는 가장 쉬운 정도의 노력으로 얻을 수 있는 가장 작은 결과물을 상상하는 것입니다. 역시 블로그로 예를 든다면, 여러 자료를 조사하고 취합해서 사람들에게 엄청난 가치가 있는 글을 쓰는 것보다는 한 문단으로 구성된 그 당시에 떠오르는 짧은 생각을 정리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보는 것입니다. 때론 글이 잘 써져 더 길고 의미 있는 글을 쓸 수도 있겠지만, 짧은 생각을 한 문단 정리한 것만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하면, 그 일은 훨씬 지속하기 쉬워집니다.

가늘게 지속하는 것이 멈춰서는 것보다 낫습니다.

단 하나에 집중하기

당장 하려고 하는 일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단 한 가지에 집중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블로그를 쓸 때도 처음에는 그저 글을 정해진 패턴대로 써나가는 것에만 집중하는 것입니다. 블로그를 해보려고 이리저리 찾아보면 다들 키워드도 찾아야 하고, 검색엔진도 최적화해야 하고, 다른 글과 연결이 될 수 있도록 배치하면 도움이 되고 등등 다양하게 신경 쓸 거리를 알려줍니다. 하지만, 처음부터 그런 것을 한 번에 다 같이 하려고 하면, 정작 중요한 글쓰기에 집중할 수 없게 됩니다.

중요한 부분을 습관처럼 해낼 수 있게 되면, 점차 여유가 생기고, 자연스럽게 그간 신경 쓰지 못했던 부분에 신경을 쓰게 됩니다. 그러니, 처음에는 귀를 닫고, 눈을 가리며, 당장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것에 집중하는 시간을 가지는 게 좋습니다.

 

결론

많은 것을 성취한 사람도 새로운 일을 시작하게 되면, 많은 경우 처음부터 완벽하고자 합니다. 가장 효율적으로 최선의 결과를 얻고자 하죠. 지금 내가 하고자 하는 일을 이미 잘하고 있는 사람에게 어떻게 하면 되냐고 물어도 시행착오를 거치지 않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알려준다고 생각하며 말이죠. 하지만, 사실 어떤 일을 제대로 해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불해야 하는 비용이 있습니다. 누군가는 그것을 시행착오라고 하고, 누군가는 그것을 경험이라고 합니다. 다들 성과를 내고 나면 '지금 알고 있는 것을 그때도 알았더라면'이라고 말하지만, 정작 그때 몰랐고, 좁은 시야를 가졌기 때문에 단순하게 일을 할 수 있었고, 꾸준히 할 수 있었다는 것을 망각하곤 합니다.

머리가 깨질 때까지 맨땅에 헤딩만 하는 것도 어리석은 일이지만, 곡괭이를 한 번도 휘둘러본 적 없는 사람이, 어떤 각도로 얼마큼 힘을 줘서 곡괭이질을 하면 가장 효율적으로 땅을 파고, 보석을 찾을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것도 유의미한 고민의 방향은 아닙니다. 기대의 수준을 낮추고, 가장 중요한 단 하나의 행동에 집중해서 꾸준히 하는 것만이 새로운 일에서 나름의 성과를 거두는 최선의 길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