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글(자산부채상태표와 현금흐름표 연결하여 살펴보기)을 마무리하면서 이번 글에서는 자산부채상태표와 현금흐름표를 합쳐서 재테크에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재테크 과정에서 지금까지 작성한 자산부채상태표와 현금흐름표를 활용하려면 우선 재테크에 대해 다시 한번 짚고 넘어가야 할 것 같습니다. 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재테크의 목적과 재테크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재테크에 대해 살펴보기
이 글을 읽는 분들은 대부분 재테크 공부를 해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을 것입니다. 어떤 상황에서 재테크의 필요성을 느끼고 재테크를 공부하기로 마음먹었는지와 각자가 이루고 싶은 목표는 모두 다를 수 있지만, 우리는 재테크를 제대로 잘하고 싶습니다.
그럼 여기서 말하는 재테크를 제대로 잘하는 것은 어떤 것일까요? '재테크를 한다' 혹은 '재테크를 잘한다'에 대한 나름의 정의가 있어야 이것을 어떻게 해야 할지, 혹은 지금 내가 재테크를 '잘'하고 있는 것인지 아닌지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월 200만 원을 버는 사람이 180만 원을 저축하고 있다면, 재테크를 잘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까요? 월 800만 원을 버는 사람이 300만 원을 저축하고 있다면, 혹은 자산이 5억 원 있는 사람이 자산의 대부분을 주식으로 갖고 있다면, 우리는 어떤 상황을 재테크를 잘하고 있다고 말하고, 어떤 상황을 재테크를 못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예로 든 상황들은 각자가 어떤 환경에 있는지, 어떤 목표를 가지고 있는지, 목표 대비 어느 정도의 성과를 내고 있는지에 따라 모두 판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즉, 우리는 각자의 상황에 맞는 목표를 세우고, 각자의 상황과 성향에 맞는 재테크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이 자신만의 방법과 기준을 세우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앞서 만들고 살펴본 자산부채상태표와 현금흐름표입니다.
이제 바로, 이것들을 활용해서 나만의 재테크 방법을 찾아보고 싶겠지만, 여기서 잠시, 재테크 방법을 찾기 전에 우리가 먼저 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우리만의 재테크에 대한 관점을 세우고, 재테크에 대해 정의를 정리하는 것입니다. 재테크에 대한 관점이란 건 또 무슨 말인가 싶을 수도 있습니다. 재테크란 것은 돈을 아끼고, 모으고, 투자해서 자산을 불리는 것 아니냐고 반문하실 수도 있습니다. 물론 맞습니다. 하지만, 조금만 더 구체적으로 생각해보는 시간을 잠시 가져보겠습니다.
재무 상황은 상태와 흐름으로 나눠 볼 수 있다
우리의 재무 상황이라는 것은 상태와 흐름으로 나누어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그간 잘 작성하지 않던 자산부채상태표와 현금흐름표를 작성하고, 이들의 특징과 여기서 읽어낼 수 있는 것들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그리고 이 과정을 통해 나의 자산 변화를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작성한 자산부채상태표에 드러나는 상태와 특정 기간 동안의 기록으로 나타나는 흐름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음을 알았습니다. 물론 세부적인 내용은 조금 더 많은 분석을 할 수 있지만, 우리의 재정 상태가 얼마나 건강한지, 잘 가꾸어지고 있는지는 이 둘만 잘 살펴봐도 충분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각자의 재무 목표는 자산부채상태표 혹은 현금흐름표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나의 현재 재무 상황을 이 둘로 표현할 수 있는 것처럼, 내가 추구하는 미래의 재무 목표도 사실 이 둘 중 하나 혹은 둘이 결합된 형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억 원 이상의 순자산을 가진 부자가 되고 싶다'는 목표는 순자산 항목이 100억 원이 넘는 자산부채상태표를 만들고 싶다는 이야기와 같습니다. 비슷하게, '45세에 은퇴하고 싶다'는 말은 45세까지 수입과 지출이 거의 같거나 수입이 조금 더 큰 현금흐름표를 만들고 싶다는 이야기와 같습니다.
우리가 능동적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은 현금흐름표뿐이다
하지만, 자산부채상태표와 현금흐름표 중 우리가 능동적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은 현금흐름표뿐입니다. 재무 목표는 특정 상태로 정의할 수도 있고, 어떤 흐름으로 정의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상태는 흐름의 결과물이 차곡차곡 쌓여서 결과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일 뿐입니다. 우리는 절약할 수 있고, 수익을 다변화하거나 늘릴 수 있고, 투자해서 자산을 불릴 수도 있지만, 시간에 기대거나 현금 흐름을 바꾸지 않고는 어떤 상태를 만들어낼 수 없습니다. 자산부채상태표는 성적표이고, 현금흐름표는 노력에 대한 기록이라고 보면 딱 맞을 것 같습니다.
자신의 재무 목표를 현금흐름표의 관점으로 변경해보세요
자산부채상태표는 재테크의 결과물이라는 사실을 인지했다면, 기존의 재무 목표를 살펴보고, 해당 목표 중 자산부채상태표의 형태로 표현되는 목표를 현금 흐름의 관점으로 변경해보세요. '얼마 이상의 자산을 원한다'가 목표였다면, 그것을 달성하고 싶은 시점을 정하고, 목표를 이루기 위해 그때까지의 기간 동안 만들어가야 하는 현금 흐름을 생각해보면, 어떤 재무 목표도 현금흐름표의 관점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재테크를 하는 목적과 재테크에 대해 다시 생각하기
지금까지 재무 상황은 자산부채상태표와 현금흐름표로 나눠서 살펴볼 수 있고, 우리가 능동적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은 현금흐름표이기 때문에, 재무 목표를 현금흐름표의 관점에서 재설정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아봤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생각해보면, 재테크를 하는 목적은 (현금흐름표의 관점으로 작성된) 재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함이고, 재테크란 이 목적을 위해 현재의 현금흐름표를 개선해 나가는 과정이라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며
이번 글에서는 잠시 자산부채상태표와 현금흐름표 활용을 뒤로하고, 재테크를 어떻게 생각해야 할지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막연히 돈을 불린다거나, 자산을 늘린다는 개념보다는 재무 목표에 부합하는 현금 흐름을 만들어간다는 관점에서 재테크를 한 번 바라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앞으로 이어질 글에서도 이와 같은 관점에서 재테크를 바라보며, 어떻게 재테크를 잘할 수 있을지에 대해 하나하나 알아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잠시 재무 목표를 설정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원래는 이번 글을 작성하고 바로 자산부채상태표와 현금흐름표를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에 대한 글로 넘어가려 했는데, 이번 글에서 재무 목표는 현금흐름표의 관점으로 작성하자고 말한 부분에 대한 약간의 부연 설명을 하고 넘어가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다음 글에서 뵙겠습니다.
다음 글 보기
재무 목표 설정하기
지난 글(재테크를 통해 무엇을 얻을 것인가)을 통해 재테크 자체와 재테크를 하는 목적을 나름의 관점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재테크의 목적이 현금흐름표의 형식으로 정리한 재무
ikbro.tistory.com
이전 글 보기
자산부채상태표와 현금흐름표 연결하여 살펴보기
지난 글(자산부채상태표 활용하기, 현금흐름표 활용하기)에 이어서 이번 글에서는 자산부채상태표와 현금흐름표를 연결하여 서로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ikbro.tistory.com
현금흐름표 활용하기
지난 글(자산부채상태표 활용하기)에서는 자산부채상태표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난 글에 이어 작성한 현금흐름표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
ikbro.tistory.com
자산부채상태표 활용하기
지난 글(재테크 시작, 나의 위치와 상태 파악하기 1 - 자산부채상태표 작성하기, 재테크 시작, 나의 위치와 상태 파악하기 2 - 현금흐름표 작성하기)에서 각각 자산부채상태표와 현금흐름표의 의
ikbro.tistory.com
'재테크 > 재테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시로 살펴보는 재무 목표 세우기 (0) | 2022.05.25 |
---|---|
재무 목표 설정하기 (0) | 2022.05.24 |
자산부채상태표와 현금흐름표 연결하여 살펴보기 (0) | 2022.05.18 |
현금흐름표 활용하기 (0) | 2022.05.17 |
자산부채상태표 활용하기 (0) | 2022.05.17 |
댓글